▶ 갑상선 기능 항진증
 |
원인 |
|
- 그레이브스병
- 중독성 결절성 갑상선종
- 뇌하수체의 갑상선 자극
- 호르몬 분비선종
- 무통성 갑상선염이나 아급성 갑상선염의 초기 |
 |
증상 |
|
- 식욕은 왕성하나 체중은 감소
- 심계항진 (숨참, 두근거림)
- 더위를 못 참음
- 불안, 초조, 예민, 불면
- 팔다리 힘이 약해지고 주기적인 마비
- 피부, 머리카락, 손발톱, 생리의 변화
- 목의 이물감, 압박감
- 안구 돌출
|
 |
치료 |
|
항 갑상선제 - 장기간 투여 (1,2년)
베타차단제 - 증상 호전
바사선 요오드 치료 - 임신, 수유시 불가능
수술 - 소아, 청소년기 환자 / 약물에 과민반응 / 임산부 / 암의 가능성이 이을때 |
 |
식이 |
|
치료초기에는 고열량 고단백 식사가 요구
1~2개월 치료 후에는 기능이 정상화되므로 일상적 식사도 가능
방사선 요오드 치료 중에는 요오드가 많이 함유된 식품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음.
|
▶ 갑상선 기능 저하증
 |
종류 및 원인 |
|
일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
: 갑상선이 직접 파괴되는 경우
- 만성 갑상선염 환자
- 방사성 요오드 치료나 갑상선 수술 후
- 선천적인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장애
- 항 갑상선제 과다 복용
이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
: 시상하부의 손상
- 뇌하수체 종양이나 손상 후
- 출산 시 과다 출혈로 인한 뇌하수체 기능부전증 |
 |
증상 |
|
- 거친 피부
- 안면부종, 하지부종
- 청진기를 통해 들리는 심장음의 감소, 서맥
- 심부건반사상 이완기의 연장
- 기억력 감퇴, 변비, 생리양 증가
- 피로감, 무기력, 의욕상실
- 추위에 약함, 식욕저하, 체중증가 |
 |
치료 |
|
부족한갑상선 호르몬을 보충
감상선 호르몬제 : T4제제가 가장 많이 쓰임 (레보신, 씨지로이드, 씬지록신) |
|